본문 바로가기

ICT 활용 팁

[파워포인트] 서식 복사 기능으로 동일한 서식 설정하기 파워포인트에서 하나의 개체에 설정한 서식을 다른 개체에 동일하게 적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서식 복사] 기능을 사용합니다. [서식 복사] 기능은 [홈] 탭에서 제공하는 명령 단추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단축키를 기억해서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서식이 설정된 개체에서 서식을 복사할 때는 Ctrl+Shift+C를 사용하고 복사한 서식을 붙여넣을 때는 Ctrl+Shift+V를 사용하면 됩니다. 1. 서식을 설정한 개체의 테두리를 선택한 후 Ctrl+Shift+C를 누릅니다. 2. 서식을 붙여넣을 대상 개체를 선택한 후 Ctrl+Shift+V를 누릅니다. 3. 동일한 서식이 설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한글] 그림 파일을 한 번에 문서에 포함시키기 현재 문서의 모든 그림 파일 정보를 확인한 후, 그림 파일을 문서 파일 안에 완전히 '포함(embedding)'시킬 것인지 외부 그림 파일에 '연결(link)'만 할 것인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그림을 삽입하면 그림 파일이 문서 파일 안에 함께 저장되므로, 그림 파일을 따로 보관하지 않아도 됩니다. 현재 문서에 '연결'된 모든 그림 파일을 한 번에 '삽입' 그림으로 바꿉니다. 1. [파일]-[문서 정보] 메뉴를 선택합니다. 2. [문서 정보] 대화 상자의 [그림 정보] 탭에서 [모두 삽입]을 클릭합니다. 3. 연결된 모든 그림이 한 번에 문서에 포함된 것을 확인한 후 을 클릭합니다. 더보기
[Windows] PrtSc 키를 사용하여 '캡처 및 스케치' 활용하기 지난 포스팅에서 '캡처 및 스케치' 를 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봤는데요, 이번에는 키를 누르면 바로 '캡처 및 스케치' 가 실행되도록 환경 설정을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단추를 클릭한 다음 [설정]을 클릭합니다. [Windows 설정] 창에서 [접근성] 클릭, [키보드] > [Print Screen 바로 가기] 에서 '끔' 을 클릭하여 아래와 같이 해당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이제 확인을 위해 키를 눌러 볼까요? 그러면 키로 인해 '캡처 및 스케치' 앱이 바로 실행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지금은 임의로 캡처해 볼까요? 캡처화면 '캡처가 클립보드에 저장됨' 이라고 표시됩니다. 참고로, '캡처 및 스케치' 앱의 환경 설정에서도 키 활성 여부를 지정할 수 있는데요, [캡처 및 스케치] 창에서 [더보기...] 클릭.. 더보기
[파워디렉터] 동영상 속도 조절하기 파워디렉터 샘플 동영상 중 Kite Surfing 영상을 실행해보면 영상의 속도가 느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는 촬영한 영상을 파워디렉터의 기능을 이용하여 빠르게, 혹은 느리게 편집 가능합니다. 1. 수정하고자 하는 영상을 타임라인으로 이동 후 클릭합니다. 2. 기능단추 메뉴에서 '도구' 버튼을 클릭하여 나타난 팝업 메뉴에서 '파워 도구'를 클릭합니다. 3. 전환된 파워 도구 메뉴에서 '비디오 속도'를 선택, '속도 조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5.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변경내역이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Windows] 캡처 및 스케치 활용하기 별도 유틸리티의 도움 없이 Windows 7이 제공하는 '캡처 도구' 를 통해 화면을 캡처할 수 있었는데요, Windows 10에서는 '캡처 도구' 뿐 아니라 '캡처 및 스케치' 를 통해서도 캡처할 수 있습니다. '캡처 및 스케치' 를 실행하기 위해서 바로가기 키를 활용하면 편리한데요, 아래 실행 키를 눌러 보겠습니다. 참고로 인터넷 기사 화면을 캡처하기 위해 미리 브라우저가 실행된 상태입니다. 전체 화면이 어두워진 상태로 전환되며, 여러 영역으로 선택하여 캡쳐할 수 있는데요, 지금은 '사각형 캡처' 를 클릭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드래그하여 캡처할 영역을 지정합니다. 캡처가 끝나면 화면 오른쪽 하단에 '캡처가 클립보드에 저장됨' 이란 알림이 표시됩니다. 여기서 알림을 클릭해 볼까요? '캡처 및 스케치' .. 더보기
[파워포인트] 자동 고침 목록에 특수문자 등록하기 파워포인트에서 특수문자를 입력할 때는 한글 자음과 키를 사용하거나 [삽입] 탭의 [기호] 기능을 사용합니다. 자주 사용하는 특수문자인 경우 매번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번거로운데 자동 고침 목록에 등록하면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파일] 메뉴에서 [옵션]을 실행합니다. 2. [언어 교정] 탭에서 을 클릭합니다. 3. 자동 고침 목록에서 입력할 내용과 변환할 결과 특수문자를 입력하고 를 눌러 목록에 등록합니다. 4. 슬라이드에서 해당 특수문자가 필요할 때 입력에 지정한 내용을 입력합니다. 5. 또는 키를 누르면 결과에 등록했던 특수문자로 변환됩니다. 만약 원래의 입력 내용이 필요하다면 + 키를 눌러 실행취소하면 됩니다. 더보기
[스마트폰 어플] 방구석 미술여행 오늘은 흥미로운 어플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미술작품과 작품에 대한 해설을 볼 수 있습니다. 나들이가 힘든 요즘 어플로 미술여행을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1. 플레이스토어에서 "방구석 미술여행'으로 검색합니다. 2. 설치 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됩니다. ㉮ 금주의 추천 작품 : 이번주 추천 작품 ㉯ 퍼즐에 나오는 명화들 소개 ㉰ 나를 위한 추천 작품 등으로 소개됩니다. 3. 궁금하거나 자세히 알고싶은 작품을 선택합니다. 오늘 소개할 작품은 19C후~20C초 인상주의 작품 중 하나인 "무용수업" 작품을 소개합니다. 작품의 제작년도, 소장처, 상세 설명 등을 통해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더보기
[Windows] 이모지(Emoji) 활용하기 이모지(Emoji)는 1999년 일본 NTT docomo 통신사에서 휴대폰 전용 문자로 개발한 그림 문자를 말하는데요, 일본 국내에서 활발하게 사용하는 가운데, 애플과 구글 등이 이모지를 지원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모지 사용이 확대되었습니다. Windows 10에서도 이모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메모장에서 이모지를 삽입해 볼까요? 먼저, 키보드에서 Windows키와 마침표를 누르면 이모지 패널이 표시됩니다. [이모지] 패널에서 마음에 드는 이모지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앞서 선택한 이모지가 메모장에 입력되는데요, 패널에 있는 컬러감 그대로 표현되지 못해 살짝 아쉽습니다. 물론 엑셀이나 워드에서도 이모지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