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글] 그림 파일을 한 번에 문서에 포함시키기 현재 문서의 모든 그림 파일 정보를 확인한 후, 그림 파일을 문서 파일 안에 완전히 '포함(embedding)'시킬 것인지 외부 그림 파일에 '연결(link)'만 할 것인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그림을 삽입하면 그림 파일이 문서 파일 안에 함께 저장되므로, 그림 파일을 따로 보관하지 않아도 됩니다. 현재 문서에 '연결'된 모든 그림 파일을 한 번에 '삽입' 그림으로 바꿉니다. 1. [파일]-[문서 정보] 메뉴를 선택합니다. 2. [문서 정보] 대화 상자의 [그림 정보] 탭에서 [모두 삽입]을 클릭합니다. 3. 연결된 모든 그림이 한 번에 문서에 포함된 것을 확인한 후 을 클릭합니다. 더보기 [Windows] PrtSc 키를 사용하여 '캡처 및 스케치' 활용하기 지난 포스팅에서 '캡처 및 스케치' 를 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봤는데요, 이번에는 키를 누르면 바로 '캡처 및 스케치' 가 실행되도록 환경 설정을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단추를 클릭한 다음 [설정]을 클릭합니다. [Windows 설정] 창에서 [접근성] 클릭, [키보드] > [Print Screen 바로 가기] 에서 '끔' 을 클릭하여 아래와 같이 해당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이제 확인을 위해 키를 눌러 볼까요? 그러면 키로 인해 '캡처 및 스케치' 앱이 바로 실행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지금은 임의로 캡처해 볼까요? 캡처화면 '캡처가 클립보드에 저장됨' 이라고 표시됩니다. 참고로, '캡처 및 스케치' 앱의 환경 설정에서도 키 활성 여부를 지정할 수 있는데요, [캡처 및 스케치] 창에서 [더보기...] 클릭.. 더보기 [파워디렉터] 동영상 속도 조절하기 파워디렉터 샘플 동영상 중 Kite Surfing 영상을 실행해보면 영상의 속도가 느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는 촬영한 영상을 파워디렉터의 기능을 이용하여 빠르게, 혹은 느리게 편집 가능합니다. 1. 수정하고자 하는 영상을 타임라인으로 이동 후 클릭합니다. 2. 기능단추 메뉴에서 '도구' 버튼을 클릭하여 나타난 팝업 메뉴에서 '파워 도구'를 클릭합니다. 3. 전환된 파워 도구 메뉴에서 '비디오 속도'를 선택, '속도 조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5.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변경내역이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Windows] 캡처 및 스케치 활용하기 별도 유틸리티의 도움 없이 Windows 7이 제공하는 '캡처 도구' 를 통해 화면을 캡처할 수 있었는데요, Windows 10에서는 '캡처 도구' 뿐 아니라 '캡처 및 스케치' 를 통해서도 캡처할 수 있습니다. '캡처 및 스케치' 를 실행하기 위해서 바로가기 키를 활용하면 편리한데요, 아래 실행 키를 눌러 보겠습니다. 참고로 인터넷 기사 화면을 캡처하기 위해 미리 브라우저가 실행된 상태입니다. 전체 화면이 어두워진 상태로 전환되며, 여러 영역으로 선택하여 캡쳐할 수 있는데요, 지금은 '사각형 캡처' 를 클릭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드래그하여 캡처할 영역을 지정합니다. 캡처가 끝나면 화면 오른쪽 하단에 '캡처가 클립보드에 저장됨' 이란 알림이 표시됩니다. 여기서 알림을 클릭해 볼까요? '캡처 및 스케치' .. 더보기 [파워포인트] 자동 고침 목록에 특수문자 등록하기 파워포인트에서 특수문자를 입력할 때는 한글 자음과 키를 사용하거나 [삽입] 탭의 [기호] 기능을 사용합니다. 자주 사용하는 특수문자인 경우 매번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번거로운데 자동 고침 목록에 등록하면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파일] 메뉴에서 [옵션]을 실행합니다. 2. [언어 교정] 탭에서 을 클릭합니다. 3. 자동 고침 목록에서 입력할 내용과 변환할 결과 특수문자를 입력하고 를 눌러 목록에 등록합니다. 4. 슬라이드에서 해당 특수문자가 필요할 때 입력에 지정한 내용을 입력합니다. 5. 또는 키를 누르면 결과에 등록했던 특수문자로 변환됩니다. 만약 원래의 입력 내용이 필요하다면 + 키를 눌러 실행취소하면 됩니다. 더보기 Microsoft의 클라우드 서비스, 사회적 거리두기에 영향을받는 지역에서 775% 급증 Microsoft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COVID-19 발생으로 인하여 사회적 거리가 있거나 대피소가 필요한 지역에서 Microsoft Teams, Windows Virtual Desktop 및 Power BI와 같은 서비스의 사용량이 775%나 증가 했다고 이번 토요일에 발표했습니다 . 시애틀의 대기업인 아마존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이 집에서 일하고 놀면서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위기 속에서 일부 Microsoft 기술이 결정적인 역할을했습니다. 예를 들어, Teams 협업 앱은 이달 초 일일활성 사용자가 주당 37% 증가했으며, 팀 사용자는 하루 9 억분의 사용량이 나타났습니다. 슬랙 (Slack) 및 줌 (Zoom)과 같은 경쟁 앱에서도 활동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 소프트는 이번 주말에 Wind.. 더보기 NASA, 전기로만 운항하는 비행기 ‘X-57’ 새로운 이미지 공개 NASA는 2000년도에 전기로만 비행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착수하여 2016년 6월 18일 최종적으로 전기로 비행하는 X-57 전기 비행기 연구에 대해서 발표를 했습니다. 이때 NASA는 14개의 전동기 회전 프로펠러와 이들 모두가 독창적으로 설계된 날개에 통합되어 이제 X-57로 지정되고 "Maxwell"이라는 별명을 가진 실험용 비행기를 사용하여 새로운 추진 기술을 테스트한다고 발표를 하였습니다. X-57 컨셉은 비행기의 특수 제작 된 날개와 14개의 전기 모터를 보여주며, Maxwell을 사용하여 전기 추진이 비행기를 더 조용하고 효율적이며 환경 친화적으로 만들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그 이후 간간히 연구진행에 대한 소식이 있었지만 지난 3월 26일 ‘X-57’의 새로운 이미지가 .. 더보기 iOS용 Zoom 앱, Facebook으로의 데이터 전송 기능 제거 줌(Zoom) 앱은 화상 회의와 화상 강의를 위한 원격 도구로 앱 설치 없이 링크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회의나 강의에 참여할 수 있어 최근 코로나19로 원격 작업을 해야 하는 사용자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하지만 종종 보안 문제나 데이터 관리에 대한 말썽이 종종 일어나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iOS용 줌 앱이 이용자 동의 없이 데이터를 페이스북으로 전송해 옴으로 인해 조금 시끄러웠습니다. 쉬운 로그인을 제공하면서 iOS 사용자가 페이스북을 유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줌 앱은 페이스북 그래프 API로 자동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한 것입니다. 게다가 이러한 데이터 공유에 대해 줌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리지도 않았습니다. 이에 줌은 iOS 앱을 업데이트하며 문제가 제기된 데이터 수집에 쓰인 페이스북 .. 더보기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15 다음